전체 글87 [노동법] 연차 휴가의 이해 뭔가 모르겠지만 복잡한 연차 휴가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연차 유급 휴가의 개념 및 부여 조건 연차 유급 휴가는 1년을 단위로 계속 근로한 근로자에 대하여 부여하는 유급 휴가로 1년간 소정 근로일수의 80% 이상 출근 시 15일부터 시작해 매 2년마다 1일씩 가산(25일 한도)하여 부여되는 법정 유급 휴가입니다. 부여 요건으로는 상시근로자 5인 이상 사업장이며 출근율이 80% 이상 되어야 합니다. 원칙은 입사일 기준이지만 보통 회사 규모가 큰 경우는 회계연도 기준으로 부여해도 예외 인정이 됩니다. 입사 후 1년이 되면 15개 연차 휴가가 발생합니다. 이 휴가는 1년 동안 사용하도록 하는데 바빠서 못하게 되면 잔여 연차 휴가에 대해서 미사용 연차수당이 발생합니다. 이 연차 수당의 시효는 .. 2022. 10. 3. [노동법] 보상 휴가제 야근을 대가로 휴가를 가라고 하는데 이게 맞는 것인지 궁금할 경우가 있습니다. 이번에는 보상 휴가제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근로기준법상 보상휴가제 구 분 요 건 근로자의 날 대체 불가능 주휴일 휴일 24시간 이전 근로자 동의나 취업규칙 규정 공휴일 근로자대표와의 서면 합의 만약 근로자의 날에 근무를 한다면 원래 유급 휴일이기에 100%을 줘야 하고 나와서 일을 했으니 100%를 추가 그리고 휴일이니 50%가 가산해서 총 250% 임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원칙적으로는 안 나오고 유급 휴일을 보내는 것이 맞으며 대체는 불가능합니다. 주휴일, 공휴일은 위의 표에서처럼 진행하면 대체가 가능합니다. 근로기준법 제57조에 따르면 사용자는 근로자 대표와의 서면 합의를 따라 제56조에 따른 연장근로, .. 2022. 10. 3. [노동법]주휴일과 주휴수당 이번에는 주휴일과 주휴수당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주휴일의 개념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르면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1주일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주어야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 조항을 보게 되면 유급주휴일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1주 동안 소정근로일을 개근해야 하고 4주간 1주 평균 소정 근로 시 15시간 이상이어야 합니다. 2. 단시간 근로자의 주휴 계산 단시간 근로자란 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당해 사업장의 동종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의 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에 비해 짧은 근로자를 말하며 단시간 근로자의 주휴수당은 해당 사업장의 동종 업무에 종하사는 통상 근로자의 근로시간을 기준으로 산정한 비율에 따라 결정합니다. 단시간 근로자의 주휴 수당 계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시간.. 2022. 10. 3. [노동법] 휴일 이해하기 근로의 휴식권 중 휴일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휴일의 기본 개념 휴일은 소정 근로일이 아닌 날, 즉 근로의 의무가 없는 날을 의미합니다. 휴일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법정 휴일은 노동법에서 정한 휴일입니다. 약정 휴일은 회사와 근로자가 합의하에 약속한 휴일입니다. 예를 들면 창립 기념일 등이 있습니다. 약정 휴일의 경우 반드시 유급 휴가로만 주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무급으로 가능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대부분 유급 휴가입니다. 법정 휴일은 주휴일, 관거서 공휴일(데체 공휴일 포함), 근로자의 날이 있습니다. 구 분 주휴일 관공서 공휴일 근로자의 날 근 거 근로기준법 제 55조 제1항 근로기준법 제55조 제2항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 적용사업장 모든 사업장 5인 이상 사업.. 2022. 9. 30.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