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A

크로스보더 딜

by 고한우 2023. 5. 23.

 기업이 해외에서 M&A를 추진하면 큰 장점들이 있습니다. 크로스보더 M&A에 성공한다면 시장 진입을 위해 정부 당국이 요구하는 요건을 이미 갖춘 상태에서 빠른 시간에 새로운 시장에 진입할 수 있고 기술적 측면에서도 국내에서 찾을 수 없는 는 신기술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크로스보더 M&A를 수행하는데 어려움도 있습니다. 해외에서 타깃기업을 발굴하려면 매우 다양한 딜 소싱 방법을 동원해야 하며 타깃기업이 속한 지역의 규제를 파악해야 합니다. 

 

1. 크로스보더 M&A를 하는 이유

1) 포트폴리오의 다변화

 포트폴리오가 사업인지 제품인지에 대한 명확한 구분은 없습니다. 둘 중 어느 것과 상관없이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위한 M&A는 성장에 한계를 느낀 성숙기업이 선택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2) 해외시작의 규제면에서 우호적인 환경 제공

 규제 중 세금에 대한 부분이 가장 큽니다. 

3) 기타 이유

  • 원가 절감과 규모의 경제 실현
  • 지적재산권과 새로운 분야의 인력확보
  • 신기술 확보
  • 새로운 시장으로의 진출

2. 크로스보더 M&A에서 유의해야 할 사항

 통합 과정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은 국내기업 인수와 해외기업 인수 간에 차이가 큽니다. 국내기업을 인수해도 실사 때에 발견하지 못했던 위험들이 드러납니다. 때로는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지 못해 대상기업의 핵심 인력이 대거 이탈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물며 언어와 환경이 다른 해외기업을 인수한 후 통합 과정에서 발견되는 위험들은 국내기업을 인수한 경우보다 훨씬 크고 복잡합니다. 이러한 위험 완화를 위해 실사의 재조정이 필수입니다. 국내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실사와 달리 더 다양한 측면에서 더욱 깊게 실사해 타깃기업을 전사적으로 심도 있게 분석해야 합니다. 실사에서 재조정되어야 하는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세법
  • 정치적 안정
  • 규제
  • 문화와 인력
  • 사업 위험

 크로스보더 M&A를 경험한 경영진 500명이 다시 크로스보더 M&A를 추진할 경우 재조정하고 싶은 영역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M&A 거래 전후 기획 시간 증대
  • 보다 공격적인 협상
  • 해당 시장과 기업문화에 대해 더 많은 실사 수행
  • 다른 거래가격이나 거래조건
  • 타깃기업을 잘 핸들링할 수 있는 외부자문사 고용
  • 타깃기업 직원 이탈 방지를 위한 노력
  • 국내 M&A 팀과 다른 팀원들로 구성

 

 가장 많은 답변은 충분한 시간을 두고 기획단계를 늘리겠다는 것입니다. 이는 M&A 전략을 더 신중히 수립하고 실사 결과를 충분히 분석해 더욱 철저한 대응책을 준비하겠다는 것입니다. 

'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I의 이해와 속도 조절  (0) 2023.05.23
M&A 가치평가 방법론  (0) 2023.05.23
M&A 계약, 양해각서와 주식매매계약서  (0) 2023.05.22
M&A 실사  (0) 2023.05.22
딜 소싱 전략  (0) 2023.05.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