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본의 흐름

자본주의의 역사는 통화 팽창의 역사다.

by 고한우 2023. 6. 11.

 부자가 되려면 돈에 대해서 바로 알아야 합니다. 우리라나의 경우 부채를 통해 국가를 운영합니다. 결코 부채를 줄이지 않았습니다. 부채 자체를 줄이기보다는 통화량을 늘려 부채비율을 낮출 뿐입니다. 그렇기에 화폐량이 줄어들어 물가가 낮아질 거라는 기대는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1. 1억 원의 과거와 현재

 구권 1억 원을 액면가 그대로의 신권 1억으로 바꿔 줄 것입니다. 하지만 물가 상승에 인해 30년 후 1억 원의 효용은 크게 줄어들었을 것입니다. 그 1억 원으로 자산을 샀다면 어땠을까?

 1기 신도시는 34평 아파트가 4,500만 원이었습니다.  21년에는 16억 원이 되었습니다. 금은 1993년 1온스당 400달러이나 현재는 1,900달러입니다. 물가는 갈비탕이 1990년대는 2000원이고 현재는 10000원입니다. 따라서 금값 상승이 물가상분 정도는 해지하는 수준을 볼 수 있습니다. 

2. 근로 소득의 한계

 기업은 근로자에게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딱 그 수준의 급여를 지급합니다. 물가 상승분에 맞춰서 급여를 인상하고 이는 근로소득의 한계는 너무 명확합니다. 임원을 달아도 임원의 소득세는 무려 38%입니다. 연봉이 2억이면 세금 다 내면 일 년에 1.36억이고 이는 월 1,135만 원입니다. 크면 크지만 그렇게 크지도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반드시 소득 파이프를 만들고 투자하여 자본 소득을 키워 나가야 합니다.

3. 부자와 빈자의 차이

 부자들은 계속해서 부동산을 매입하고 주식과 금, 채권 등에 투자하여 자산은 불렸을 것이고 빈자들은 빚을 내서 자식들 공부시키며 지속적으로 노동력을 제공한 대가로 급여를 받으며 힘겹게 살았을 것입니다. 부자는 일하지 않아도 재산이 늘어나지만 빚자는 일 해도 재산이 줄어듭니다. 

4. 자본 소득

 궁극적으로는 자본 소득을 만들어야 합니다. 일하지 않아도 재산이 유지되거나 오히려 재산이 늘어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도박처럼 모든 걸 운에 맡기라는 뜻은 아닙니다. 자신만의 기준을 가지고 시장을 떠나지 말고 공부하며 투자해야 합니다. 투자의 대전제는 화폐가치는 하락하며 자산 가치는 우상향 합니다. 모든 위기는 극복되어 왔고 인류는 성장합니다.입니다. 이 대전제 아래 투자 공부를 게을리하지 말아야 합니다. 위기의 순간에도 내가 투자할 수 있는 그릇을 키우고 있다면 어느새 자본 소득이 근로소득보다 많은 시점이 도래할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