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K(Central Kitchen, 센트럴 키친)는 식품 제조와 유통을 혁신하는 핵심 인프라입니다. 하지만 CK는 목적과 활용 방향에 따라 유통향 CK과 식자재/급식향 CK으로 구분됩니다. 이 두 가지 모델은 공정, 품목, 물류, 시스템이 전혀 다르게 설계되어야 합니다.
1. 유통향 CK란?
유통향 CK는 리테일, 편의점, 온라인몰, 프랜차이즈 등에 완제품이나 HMR 형태로 상품을 공급하는 CK입니다.
- 목적: 상품 판매용 완제품 생산
- 주요 채널: 편의점, 이커머스, 마트 PB, 프랜차이즈
- 특징: 소포장, 디자인 포장, 유통기한 중심 생산
- 주요 품목: 냉장 HMR, 반조리 소스, 1~2인분 도시락
2. 식자재/급식향 CK란?
식자재/급식향 CK는 단체급식, 외식 매장, 그룹 계열사에 전처리/반조리 식자재를 대량 공급하는 형태입니다.
- 목적: 매장 조리 부담 완화 및 운영 효율화
- 주요 채널: 구내식당, 외식 브랜드, 급식 사업장
- 특징: 대용량 벌크, 조리편의성, 정시 납품
- 주요 품목: 볶음류, 나물류, 반찬, 조림, 소스 베이스
3. 비교표
구분 | 유통향 CK | 식자재/급식향 CK |
---|---|---|
주요 목적 | 소비자 제품 생산 및 판매 | 조리용 식자재 공급 및 작업 대체 |
대표 품목 | 도시락, HMR, 양념육, 레토르트 | 반찬류, 전처리 채소, 소스 베이스 |
포장 방식 | 소포장, 진공, 완제품 패키지 | 벌크, 파우치, 납품 단위 기준 |
배송 방식 | 상품 단위 출하 / 유통망 경유 | 점포 납품 / TMS 기반 회차배송 |
물류 흐름 | 상품 창고 → 유통망 → 소비자 | CK → 권역 DC → 점포/급식장 |
생산 전략 | 다품종 소량 / 유연한 기획 대응 | 반복 생산 중심 / 식단 고정 대응 |
4. 결론
CK는 단일한 개념이 아닙니다. 어떤 고객을 상대로 어떤 제품을 공급할 것인지에 따라 CK의 구조와 전략은 완전히 달라집니다. 급식과 유통을 모두 아우르는 기업이라면 CK 내에 두 기능을 분리 또는 병행 설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유통향 CK은 상품을 팔기 위한 설계, 식자재/급식향 CK은 운영 효율을 높이기 위한 설계입니다. 두 방향 모두 성공하려면 목적에 맞는 설비, 포장, 공정, 시스템, 물류 체계를 독립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본의 흐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본주의의 역사는 통화 팽창의 역사다. (0) | 2023.06.11 |
---|
댓글